2011. 3. 20. 19:15

소셜 맥거핀(Social Macguffins)[시사인 183호]



두 사람이 스코틀랜드행 열차를 타고 가다가 한 사람이 선반에서 짐을 발견한다. “저게 뭐요?”“아, 그거 맥거핀입니다.”“맥거핀이 뭐죠?”“스코틀랜드 고지대에 사는 사자를 잡기 위한 도구죠.”“스코틀랜드 고지대엔 사자가 없는데요?”“음, 그렇다면 맥거핀은 아무 것도 아니군요.”

영화감독 알프레드 히치콕의 가장 유명한 발명품 중 하나인 맥거핀에 관한 일화다. 워낙 유명해서 영화에 관심 있는 이들은 한번쯤 들어봤을 용어다. 맥거핀은 영화의 줄거리에서 별다른 의미가 없지만 관객의 눈을 잡아끌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관객들만 알고 있는, 탁자 밑의 폭탄 같은 것들이다. 여기서 하려는 얘기는 영화 속 맥거핀은 아니고, ‘소셜 맥거핀(Social Macguffins)’에 대해서다. 물론 내가 방금 지어낸 말이다(줄여 부르기도 좋지 않은가, “소맥”!). 글자 그대로 “사회의 맥거핀” 또는 “사회적 맥거핀”인데,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사이비 적대(pseudo hostilities)’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계급, 젠더, 인종 등 수많은 적대들이 중첩되거나 교차하면서 사회적 적대관계의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 소셜 맥거핀은 이런 첨예한 적대들과 달리 실체가 없거나 매우 사소한 적대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사회적 갈등인양 부풀려진 것들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소셜 맥거핀이 범람할수록 용산참사나 쌍용차 해고사태와 같은 우리가 주목하고 귀 기울여야 할 ‘진짜 적대’들은 은폐되거나 왜곡되기 쉽다.


진심이 만들어낸 가짜

사이비 적대, 가짜 적대의 가장 극적인 판본들이 박정희 정권과 노무현 정권 시기에 있었다. 박정희 정권의 베트남파병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1965년, 당시 국회의원이었던 차지철이 느닷없이 파병 반대에 나섰다. 대미교섭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박정희가 측근인 차지철에게 ‘쇼’를 하라고 지시했던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내부갈등을 연출하는 것은 박정희의 특기였는데, 1963년 3월의 소위 ‘군 일부 쿠데타 음모사건’이 그 시초였다. 박정희가 민간인 정치해금을 추진하려하자 군 일부가 반발해 박정희를 죽이려 했다는 내용이었다. 물론 이것은 박정희가 이른바 “특단의 조치”를 취하기 위한 명분 쌓기 용도였다. 박정희가 실제로 살해될 뻔 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이에 비견되는 노무현 정권 시기의 소셜 맥거핀 역시 파병 건이었다. 당시 국회의원 유시민의 행보는 차지철과 비슷하면서도 달랐다. 어떤 때는 대통령의 대미협상 부담을 덜기위해 국민들이 파병에 반대해줘야 한다고 말했다가, 그 후에는 “네오콘의 보복” 운운하며 파병에 찬성하기도 했다. 유시민의 소셜 맥거핀은 고정된 형태가 아니었다. 그것은 반대여론의 국면에 따라 이라크 파병 반대와 찬성을 지속적으로 오락가락하면서 가짜 전선을 만들어냈고, 우리 군인의 생명과 김선일 씨의 죽음을 놓고 반전평화 세력이 그은 전선을 집요하게 교란시켰다. 또 하나의 사례로는 황우석 사태 당시 <중앙일보> 의학전문기자 홍혜걸의 “국론통일” 주장이 있다. 이를테면 ‘선진국이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을 질투해서 황우석 흠집내기에 나선다’는 식의 논리였다. 황우석을 둘러싼 한국과 선진국 사이의 가짜 적대를 설정해 사람들을 호도한다는 점에서 이 또한 전형적인 소셜 맥거핀이었다.

소셜 맥거핀은 이처럼 대부분 국익이나 공익을 빙자해 출현한다. 주의해야할 점은, 대부분의 소셜 맥거핀은 숭고한 내적 동기로부터 탄생한다는 점이다. 툭하면 있지도 않은 내부갈등을 조작했던 박정희조차, 그런 거짓말을 한 목적이 뭐냐고 물으면 ‘조국과 민족의 번영을 위해서’라고 망설임 없이 답할 것이다. 확신하건대 1백 퍼센트 그의 진심일 것이다. 소셜 맥거핀은 ‘그럴듯한 가짜’일 뿐 아니라 ‘진심이 만들어낸 가짜’다. ‘진정성’ 같은 심정윤리를 통해 사회문제를 판단하길 좋아하는 한국사회야말로, 소셜 맥거핀이 자라날 최적의 토양인 셈이다.


----------------------------------------------


*매체 편집 이전 원본이다.
**조만간 YES24에서 사회비평 연재를 하나 시작한다(늦어도 다다음주부터).  사실 "소셜 맥거핀"이란 말은 그 연재를 위해 고안됐다. 일간지나 주간지 칼럼보다는 긴 호흡의 글이 될 테고, 이변이 없는 한 주1회 업데이트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