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5. 16. 16:56

세대론 단상

10대를 세대론으로 단번에 묶어버리는 담론들이 여기저기서 쏟아진다. 아래 칼럼 '촛불소녀의 혁명'은 지난 주 초에 썼고, 이번 주 <시사IN>에 실렸는데, 커버스토리 역시 10대들의 촛불집회에 대한 것이었다. 나는 10대 '여성'에 방점을 두었기 때문에 결이 좀 다르긴 하지만... 그 중에서 박형숙 선배가 쓴 '그들은 이명박에 빚진 게 없다' 기사는 분명 잘 쓴 기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으로 '386스러운' 글이었다. 요컨대 10대는 노무현 정권은 물론이고 이명박 정권의 탄생에 아무런 책임도 없고, 따라서 마음의 빚이 없었기 때문에 거리낌이 없이 행동에 나설 수 있었다는 거다.

'빚이 있다/없다'는 시각으로 10대의 정치적 성향을 재단하는 것은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의 발언에서 비롯된 것이다. '빚' 운운 하는 것은 사실 과거 월간 <말>에서 종종 보이던 프레임이다. 월간 <말>  2003년 1월호 표지는  '아무에게도 빚진 것 없는 자수성가 대통령'이었다.

마음의 빚, 또는 부채의식으로 개인이나 집단의 성향을 설명하는 것은 물론 일리가 없는 건 아니다. 그러나 역사에 대한 부채의식, 동지에 대한 부채의식으로 운동을 했던 386과 10만 광년쯤 떨어진 요즘의 10대들을 그런 식으로 설명하는 것은 너무 자의적인 것 아닐까. 386에게는 설득력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정작 당사자인 10대들은 부채의식이 있고 없고를 떠나 그런 식의 사고방식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완전히 생뚱맞은 소리가 되어 버린다. '저 서람 대체 뭐라는 거니?'

오연호 대표는 또 "20대 역시 별로 빚이 없지만 취업준비의 중압감 때문에 참여하기 힘들지 않나 한다"는 요지의 발언도 했다. 그럼 10대들에게는 그런 중압감이 없다는 것인가?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는 10대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대학입시 강박은 취업강박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다. '2.0 세대' 운운하는 어떤 지식인의 발언을 보면 (그 분석의 타당성은 둘째치고) 한국 10대를 핀란드의 10대로 착각할 지경이다. 한국의 10대들은 386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해맑고 생기발랄하지 않다. 자살자가 속출할 정도로 우울한 집단이며, 몇년 후에는 그들 역시 지금의 20대가 처한 상황에 놓이게 될 운명이다. 피상적인 세대 규정이나 섣부른 20대와의 구별짓기 이전에, 10대들의 생활을 미시 수준에서 관찰하는 게 먼저 아닐까.

사람들로 하여금 행동에 나서게 하는 첫번째 요인은 부채의식 혹은 순수함 따위가 아니다. '공감'과 '분노'다. 더구나 이번 사안에는 젠더의 관점이 반드시 필요하다. 남성에 비해 훨씬 탈정치적이라 평가되던 젊은 여성들이 대거 쇠고기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단순히 오가닉(organic) 제품의 소비자에 머물던 여성들이 처음으로 오거나이즈(organize)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거다. 이것이 녹색정치를 향한 청신호가 될지 일시적 현상에 그칠지는 아직 모르지만, 기성언론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분석을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지금 10대를 규정하는 몇몇 세대론은 다양한 정치-성정치적 의미를 모두 거세시킨 채 마케팅 용어를 만들 듯 10대를 박제화시키고 있다. 동시에 20대를 게토화하고 있다. 386들이 자신들의 로망(민주 대 반민주, 이명박 대 반이명박 등등의 아마겟돈 식 선악대결구도)을 10대에게 투영해서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런 식의 세대론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