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 11. 17:56

'기레기'들에 관한 쓸데없는 잡감

유사언론, 유사보도라는 표현이 유행이다. 지상파는 거의 전두환 시절로 돌아갔다. 내가 전두환 시절을 살아봐서 안다. '거의' 돌아갔다. 더 나빠진 면도 있다. 기자들이 광고 걱정하며 기사를 쓰는 풍경 말이다. 물론 예전에도 그런 일은 있었다. 그러나 수치스럽다는 감각이 존재했다.  '내지르는' 후배에 대한 선배들의 애정이나 지지도 실은 그런 감각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지금은 기자가 광고를 따러 다니는 풍경이 너무나 자연스럽다. '옛날이 좋았다'는 식의 미화는 물론 아니다. 난 언론사나 기자들이 과거에 비해 내부관행이나 개인의 역량이란 측면에서 훨씬 진보했다고 생각한다. 


정보통신기술,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분명 중대한 변수다. 그러나 무엇보다 언론이 이런 쓰레기장이 되어버린 것은 현실권력, 대중, 언론 삼자가 서로를 핑계로 자신의 질적 하락에 조금씩 너그러워지고 또 조금씩 용서해버렸던 역사가 상호작용하고 축적된 결과다. 


여전히 보석 같은 기사들, 출중한 기자들이 즐비한 언론이 존재한다. 하지만 대중은 외면하고 권력은 탄압한다. 팩트 체크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칼럼 모음들, '찌라시'에 돌아다닐 법한 음모론을 모아다 '신내린 예언'으로 과장하는 팟캐스트들이 '대안언론'을 표방한다. 가장 저열한 기사, 가장 저질인 기자들이 "기레기"란 이름으로 조롱거리가 되며 미디어 전체를 대표하고 있다. 


미디어란 모순적인 공공재다. 미디어는 철저하게 민영화되어야 비로소 공공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민영화는 사유화와 다르다. 특정한 개인이 아니라 인민이 공동소유하고 운영하는 본래적 의미의 민영화다. 미디어는 최종심급이 되면 절대적으로 타락한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 서로를 감시할 머리가 셋 달린 켈베로스의 개가 되어야 한다. 자고로 '영물'을 만드는 데엔 대가가 따르는 법이다. 자본이 필요하고 인민의 의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둘 중 하나라도 있는가? 아니 그 이전에, 우리에게 '제대로 된 언론'에 대한 합의라는 게 애초에 존재했던가? 


어떤 이들은 '이제 개인이 미디어가 되는 시대'라며 낡은 형식의 언론 모델이 종언을 고했다고, 혹은 종말에 가까워졌다고 선언한다. 기성언론 모델이 너무 낡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데 전면적으로 동의한다.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 역시 동감이다. 나 또한 창발적 개인들이 기존 미디어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생각한다. 충분할 정도로 많은, 충분할 정도로 교육받은 사람들이 충분할 정도의 여가를 확보한다는 전제만 충족된다면 말이다.